은둔형 외톨이(히키코모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아트스토리심리상담센터관련링크
본문
1. 정의
히키코모리 또는 은둔형 외톨이 혹은 사회적 위축은 사회 생활을 극도로 멀리하고, 방이나 집 등의 특정 공간에서 나가지 못하거나 나가지 않는 사람과 그러한 현상 모두를 일컫는 일본의 신조어이다. 다양한 요인에 의해 사회 참여의 폭이 좁아져, 취직이나 취학 등 집 바깥의 생활 환경이 장기간에 걸쳐 없어지는 상태
2. 원인
히키코모리가 되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학교·회사에서 당하는 육체적·정신적 고통(왕따 등의)을 피하기 위해
가족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한 트라우마, 가족들로부터의 지나친 간섭으로 인해 자신감을 갖지 못하고 성장한 경우
사회에 압도되어 인생에 절망해 벌이는 자해 행위의 일종
자신이 보기 싫어하는 현실, 사람(들), 장소 등을 보지 않기 위해
속마음을 겉모습이라고 합리화시켜 사회나 어떤 상황이 기대하는 역할을 찾아내는 것이 어려운 경우
사회에 적응해야하는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유아 다루듯이 무차별적인 부모의 지원, 도움
의외로 어릴적부터 공부도 잘 하고 말도 잘 하고 부모에게도 순종적인 아이들이 히키코모리가 되기 쉽다고 한다. 이들은 순탄하게 자라오던 어린 시절과 달리, 성인이 되면서 경험하게 되는 여러 가지 좌절을 극복하지 못하게 되고, 부모에게 미안한 마음과 원망을 동시에 가지게 되면서 점점 혼자만의 세계에 빠져들게 된다.
3. 히키코모리가 되는 시기
주로 책임감이 부여되는 등 사회 생활을 시작하는 청소년부터 젊은 성년들이 히키코모리가 되는데, 이때 히키코모리가 된 사람이 사회로 복귀하지 못한 채 중년이 되기도 한다. 진학이나 취직 적령기에 놓인 사람들 외에 사회인으로서 자립한 사람들도 히키코모리가 될 수 있다. 성인 히키코모리들은 부모가 죽은 뒤가 걱정되어 부모의 죽음을 숨기고 연금을 부당하게 수급하는 등의 사건을 일으키기도 한다.
4. 생활 습관
히키코모리는 방이나 집에서 나가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모든 히키코모리가 그런 것은 아니다. 방이나 집에서 전혀 나가지 않는 사람들도 있는 반면, 장보기 같은 이유로 외출할 수 있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이들도 사회 생활은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으며, 몇몇은 장 보는 와중에도 집에 빨리 들어가고 싶어한다.
밖에 나가지 않기 때문에 주야가 바뀐 생활을 하거나 인터넷 중독에 빠지는 등의 문제도 있다. 또 이런 생활 습관으로 인해 타인이나 사회와의 접촉이 더 어려워지는 악순환에 빠질 수도 있다.
히키코모리 스스로 노력하여 '이번에는 잘 해야지'하고 결심하는 경우는 종종 있지만 쉽게 극복하지 못한다. 학생을 예로 들면 '오늘 하루만 결석해야겠다. 내일부터는 잘 나가야지'하고 마음 먹지만 이것이 반복되어 일주일, 한 달, 한 학기 내내 학교를 가지 않게 된다.
사회 활동을 하지 않고, 하는 것은 식음을 전폐하거나 불규칙한 식사, 거의 식사를 하지 않고, 오랜 시간 잠을 자거나, 한 가지에 과도하게 몰입하거나, 가끔 일어나 끼니를 때우고 컴퓨터를 하는 것 등이 있다.
출처: 위키백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